국회입법조사처

연구 보고서-상세화면

국제질서 패러다임 변화와 한반도 평화와 도전 : 주요국 정책 기조와 전망

2024.12.31 김도희,이승열,김예경,박명희,심성은

분 류 : NARS 입법·정책

  • [바로보기]
  • [다운로드]

Ⅰ. 서론

Ⅱ. 주요국의 대한반도 정책 기조와 주요 정책

1. 남북한 관계
가.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1) 윤석열 정부의 대북정책 추진체계
(2) 윤석열 정부의 ‘담대한 구상’
(3) ‘담대한 구상’의 특징과 한계점
나. 북한의 대한반도 정책 기조
(1) 한반도 두 국가론 선언과 민족 통일론 폐지
(2) 대남 적대 국가 선언
(3) 대남·대미를 겨냥한 핵무력 고도화 정책
2. 미국
가. 바이든 행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1) 세심하게 조정된 실용적인 접근법
(2) 대북제재 유지 및 인권문제 강조
나. 비핵화 및 확장억제 정책
(1) 대북정책 공조와 비핵화
(2) 확장억제 정책
3. 중국
가. 대한반도 정책 기조: 한반도 3원칙 견지와 핵심이익 수호
(1) 한반도 3원칙 견지
(2) 중국의 건설적 역할 강조
(3) 중국의 핵심이익 수호
나. 대한반도 관련 주요 정책: ‘쌍궤병행’ 등 중국방안
4. 일본
가. 대한반도 정책기조
(1) 일본의 대한국 정책기조
(2) 일본의 대북한 정책기조
나. 일본의 대한반도 관련 주요 정책
(1) 일본의 대한국 주요 정책
(2) 일본의 대북한 주요 정책
5. 러시아
가. 대북정책
(1) 러우전쟁과 북러 협력 강화 배경
(2) 북러 외교안보 및 경제 협력 강화
나. 대(對)한국 정책
(1) 한러 간 외교안보 관계
(2) 경제·사회적 관계

Ⅲ. 국제질서 전환기 한반도 정세의 특징

1. 진영화와 신냉전
가. 한반도의 특수성과 진영화 양상
나. 북한의 ‘신냉전 체제’ 선언
2. 한미일 대 북중러 협력
가. 한미일 협력
(1) 한미일 협력의 의의
(2) 한미일 3국 협력의 영향요인과 전망
나. 북중러 협력
(1) 북러 군사협력의 고도화를 통한 긴장 고조
(2) 중러 협력과 대북지지
(3) 북중관계와 북중러 3국 협력의 가능성

Ⅳ. 트럼프 2.0과 한반도 정세 전망

1. 트럼프 2.0과 남북한 관계 전망
가. 트럼프 2.0과 한미동맹의 의제
나. 제3차 북미정상회담 가능성
다. 북한의 대남 군사도발 가능성
2. 주변국과의 관계 전망 및 과제
가. 중국
(1) 국내외 정세 변화에 따른 향후 전망
(2) 시사점 및 대응 과제
나. 일본
(1) 국내 정세 변화와 대한반도 정책
(2) 대응과제
다. 러시아
(1) 북러관계
(2) 한러관계

Ⅴ. 결론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페이스북 새창에서 열림 트위터 새창에서 열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