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입법조사처

연구 보고서-상세화면

북한 엘리트 내 권력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 장악을 중심으로

2025.04.10 이승열

분 류 : NARS 입법·정책

  • [바로보기]
  • [다운로드]

Ⅰ. 북한정치에서 숙청이 사라진 이유는

Ⅱ. 체스트 버나드(C. Barnard)의 비공식조직이론 적용

1. 비공식조직과 공식조직의 상호의존성
2. 북한 엘리트 내 비공식조직 형성의 조건: 객관적 권위의 부여

Ⅲ.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1.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과정
가.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등장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와 공식조직화 완성
2. 장성택 비공식조직의 진화 방향: 갈등과 분열
가. 경제적 이권을 둘러싼 군부와의 갈등
나. 장성택 비공식조직 내의 분열

Ⅳ.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와 진화 방식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등장
나.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핵심 엘리트 현황
(1) 군부 엘리트
(2) 당과 검열기구 엘리트
다.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공식조직화 특성
2.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진화: 확장과 지속
가. 최룡해 비공식조직에 대한 견제
(1) 백두혈통 김여정의 견제
(2) 조직비서 조용원의 견제
나. 최룡해 중심의‘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확립
(1) 최룡해 비공식조직의 소속감과 결속력 강화
(2) 최룡해 중심의 ‘지배엘리트 단일후견체제’의 역설

Ⅴ. 결론

OPEN 출처표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페이스북 새창에서 열림 트위터 새창에서 열림